popup zone

공학교육혁신센터 조직

  • 공학교육혁신센터는 교무부총장 산하의 부속기관으로 공학교육의 혁신적인 방향설정과 운영에 대한기본정책을 수립하는 정책적 의사결정기구
  • 공학교육혁신센터장은 공학교육의 혁신적인 방향설정과 운영에 대한 기본정책을 수립하며, 학내 유관 기관간의 협의체인 정책조정회의에 참석하여 협의 및 결정 권한을 지님
  • 공학교육혁신센터의 조직은 아래와 같이 산학협력전문위원회, 내외부 자체평가위원회, 4개 분과위원회, 행정지원팀으로 구성됨


  • 산학협력전문위원회
    공학교육혁신센터장, 공과대학장, 각 분과위원장 및 공과대학 내 사업단 단장, 공학교육혁신센터장이 위촉한 산업체 위원으로 구성, 수요지향적 교육과정 운영 및 산학협력 활성화 방안에 대한 자문 역할 수행
  • 내부/외부 자체평가위원회
    운영위원회 산하 자체평가위원회는 내부 자체평가위원회와 외부 자체평가위원회로 구성, 공통영역, 확산영역, 특화(자율)영역 등의 성과지표 측정 방법에 의거하여 자체평가 실시
  • 분과위원회
    - 공학교육혁신센터장, 공과대학장, 각 분과위원장 및 공과대학내 사업단 단장으로 구성하며 센터장이 위원장이 됨, 공학교육혁신센터 운영에 대하여 심의
    - 공학교육혁신을 위한 공학교육과정 개설 및 운영, 공학교육 인증관련 규정 심의, 주요 사업계획, 기타 공학교육 관련 사항
    - 분과별 당해연도 사업 추진 및 예산 집행에 관련된 사항 논의
    - 각 분과별 당해연도 사업목표 달성을 위한 의사결정
    산학협력전문위원회를 활용하여 사업에 대한 지속적 자문
  • 창의교육 분과위원회
    창의력 증진과 공학문제 해결방안을 연구하는 위원회
    창업연계전공, 특허관련 교과목, 특허관련 외부 경진대회 등의 운영총괄
  • 융합교육 분과위원회
    융합교육과 관련된 교육과정과 교육체계를 연구하는 위원회
    연계전공, 다학제 기초설계 교과목, 종합설계 교과목 운영 총괄
    다빈치라고 명명된 자율특화 프로그램 운영․관리
    커리어 관련 교과목, 인문사회 교양과목 등을 포함한 자율특화 프로그램 총괄
  • 공학교육운영 분과위원회
    공학교육인증제도 운영에 관련된 제반 사항을 수행하며 공학교육인증 관련 운영 총괄
    분과위원장과 분과위원은 각 프로그램 PD교수로 구성되며 산하에는 정책위원회를 구성하여 각종 규정 관리를 총괄
  • 산학협력 분과위원회
    산업체와 연관된 다양한 과제를 수행하는 위원회로 산업체 지원 캡스톤 과제 도출 및 산학협력전문위원회 관리 업무를 총괄
  • 행정지원팀
    - 각 분과위원회의 공학교육 연구 및 과제 수행 업무를 지원- 유관 부서와의 협력을 통한 사업관련 행정업무 수행, 그리고 공학교육인증제도 운영을 위한 업무를 수행
    - 1명의 팀장, 1명의 연구교수, 2명의 연구원, 1명의 연구보조원으로 구성